반복문
📌 반복문 종류 |
while |
조건식이 true인 동안 반복 실행 continue, break => 코드를 제어하는 키워드 |
do-while |
do{} 블럭안의 코드를 한번 실행 하고, while 조건식이 true인 동안 반복 실행 |
for |
반복횟수를 명확하게 알고있을때 사용, 주로 배열과 함께 사용 |
for-in |
객체의 속성을 나열할 수 있음, Object.key(객체) ⇒ 객체의 key값을 가져오는 함수(배열로 반환) |
- 💡 사용예
- while문은 조건에 따라 반복횟수를 결정해야할 때 사용
- 무한루프 코드 만들때 사용
// while문 형식
while(조건식){
// 조건식이 연산결과가 참(true)인 동안, 반복될 코드작성
// continue 키워드를 만나면 뒤에 있는 코드를 모두 건너뜀
// break 키워드를 만나면 반복문에서 즉시 탈출
}
// do-while문 형식
do{
// 한번은 실행할 코드
}while(조건식){
// 조건식이 연산결과가 참(true)인 동안, 반복될 코드작성
}
// for문 형식
for(초기화식; 조건식; 증감식;){
실행할 코드
}
// 예시
// 구구단을 출력해보자
for(let i=2; i<=9; i++){
console.log(`========${i}단========`)
for(let j=1; j<=9; j++){
console.log(`${i}*${j}=${i*j}`);
}
}
/*
출력값
========2단========
2*1=2
2*2=4
.
.
.
9*8=72
9*9=81
*/
// 변수 여러 개를 한번에 초기화 할 수 있음
for(let i=0, j=10; i<j; i++, j--){
console.log(i,j);
}
/*
출력값
0 10
1 9
2 8
3 7
4 6
*/
// for-in 형식
for(변수 in 객체){
객체에서 열거할 수 있는 속성 개수만큼 반복적으로 실행하고자 하는 실행문;
}
// 예시
// 사람 객체를 만들어서 출력해보자
let person = {
name: "person1",
age: 20,
height: 170,
arr: [1,2,3]
};
// 객체의 키를 가져오는 함수
console.log(Object.keys(person));
/*
출력값
(4) ["name", "age", "height", "arr"]
0: "name"
1: "age"
2: "height"
3: "arr"
length: 4
*/
// 객체의 키를 가져옴
for (let personKey in person) {
console.log(`personKey: ${personKey} \n`);
}
/*
출력값
personKey: name
personKey: age
personKey: height
personKey: arr
*/
// 객체의 키로 값을 가져옴
for (let personKey in person) {
console.log(`${personKey} : ${person[personKey]} \n`);
}
/*
출력값
name : person1
age : 20
height : 170
arr : 1,2,3
*/
- 📌 while, for, for-in문의 차이점
- while 문을 사용하는 경우
- 무한 루프나 특정 조건에 만족할 때까지 반복해야하는 경우
- 주로 파일을 읽고 쓰기에 많이 사용
- for 문을 사용하는 경우
- 반복 횟수가 정해진 경우
- 배열과 함께 주로 많이 사용
- for-in 문을 사용하는 경우
- 객체의 키, 값을 가져오는 경우